본문 바로가기
주식

기업가치 산출 공식 : 현명한 초보 투자자 (야마구치 요헤이) with Excel

by 게으르고 무능력한 완벽주의자 2024. 10. 27.
반응형

주식을 하겠다라고 마음을 먹고 처음 읽은 책이 바로 야마구치 요헤이의 현명한 초보 투자자라는 책이다.

나는 이 책을 읽고 가치투자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세웠다. 이 책이 무조건 정답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기본적인 개념을 세우기에는 아주 적합한 책이라고 생각을 하였고, 수익률은 낮더라도 안전한 주식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한다.

 

기업의 적정 가치 파악하기

이 책에는 기업의 적정 가치를 간단하게 계산하는 한가지 수식이 나온다. 이 공식이 절대적으로 맞다라고 이야기 할 수는 없다. 다만 저는 하나의 지표처럼 사용하고 있으며, 관련 내용은 책을 직접 읽어보고 판단하기를 바란다. 

현명한 투자자에 나오는 기업 적정 가치 산출 공식
현명한 투자자 - 야마구치 요헤이

 

우선 당해년도 영업이익, 혹은 나같은 경우는 3개년치 평균 영업 이익을 산출하여 본인이 생각하는 PER를 곱한다.

해당 책에서는 10배를 곱하라고 나와있는데, 그 이유는 세금을 뺀 기대수익률 6%로 나누기 때문이다. 간닪나게 10억을 영업이익으로 벌었다고 하면 단순하게 세금 40%, 사업이익이 6억이며 10배를 하면 사업 가치를 100억으로 잡는 간단한 방식이다.

 

①영업이익의 10배 + 재산가치[②유동자산-(③유동부채 합계 X 1.2) + ④투자자산 합계] - ⑤부채[고정부채 합계]=기업가치

 

이 기업 가치를 발행 주식으로 나누면 1주의 가치가 나온다. 이를 현재의 주가와 비교하여 현재 주가보다 높다면 기업가치 대비 저렴한 것이라고 판단을 하고, 주가보다 낮다면 현재의 주가는 오버벨류라고 판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나는 이것을 엑셀로 정리를 하여 기업의 재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산출되게 만들었다.

잘 보일지 모르겠지만, Red Value라고 하는 것이 해당 공식으로 산출되어 나온 결과값이다. 침고로 나의 수식은 당기순이익 3개년치를 3개년치 평균 PER를 곱한 값으로 영업이익 10배 대신하였다. 

삼성 SDI라는 주식을 기준으로 하였고, 이를 보면 우리나라 주식이 많이 저평가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SDI의 재무제표를 Excel로 옮긴 사진
현명한 투자자 공식으로 삼성 SDI 적정 가치 산출하기

 

혹시 해당 엑셀이 필요하신 분은 비밀댓글로 메일을 남겨주시면 엑셀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

 

공식의 한계

해당 공식은 모든 재무제표가 그러하듯이 과거의 데이터 만으로 산출된 값이다. 해당 공식은 미래를 담지 못하고 사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기입할 수 없다. 따라서 당기순이익에 개인의 생각을 녹여서 PER를 곱하면 더욱 좋을 것 같다.

따라서 나처럼 초보인 사람들은 해당 공식을 그대로 대입하여 결과값을 확인하고 대략적으로라도 파악하면 좋을 것 같다.

 

 

나의 생각 한줄

안하는 것 보다 무조건 낫다. 3~4개년치 재무제표를 정리하면 기업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다. 단순히 결과값을 산출하는 것 이외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으니 초보 분들은 해당 엑셀에 정리를 하며 기업을 분석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