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 오전 한국은행에서 기준 금리를 3.25%에서 3%로 0.25% 인하 하였습니다.
금리 인하로 인한 영향과 앞으로 시장은 어떻게 흘러갈지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의 예상을 깨고 금리 인하?
대부분의 사람들은 금번 금융통화위원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을 했습니다.
저 역시 1,400원에 달하는 높은 환율, 미국 금리와의 큰 차이, 부동산 상승 우려 등 여러가지 이유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하였습니다.
하지만 모두의 예상을 깨고 금리를 0.25% 인하하여 3%로 낮추었습니다.
https://www.mbn.co.kr/news/economy/5075825
한은, 기준금리 0.25%p 깜짝 추가 인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3.25%에서 3.00%로 0.25%포인트(p) 더 낮췄습...
www.mbn.co.kr
그렇게 되면 미국과의 금리 차이는 1.75% (미국 금리 4.75%, 한국 금리 3%)로 여전히 매우 큰 상태입니다.
미국과 금리차이가 가장 컸을때는 약 2%로 미국은 5.5%, 한국은 3.5% 수준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시장은 어떻게 반응할까?
저는 환율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금일 환율 추이를 보면 해당 금리 인하 발표를 했을 때(약 오전 9시 50분) 달러 환율이 급격하게 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율이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 처럼 자본은 같은 위험성을 가질 때 수익이 높은 쪽으로 이동을 합니다.
당연히 국내 금리보다 미국의 금리가 높고, 따라서 채권 수익률도 미국이 더 높을 것입니다.
그러면 미국 채권을 사기 위해 원화에서 달러로 환 변동이 이어질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달러를 원하기 때문에 달러가 귀해집니다.
시장논리는 단순하다고 생각합니다. 공급이 많으면 싸지고 공급이 부족하면 비싸집니다.
달러에 대한 수요는 많아지고 공급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달러가 비싸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동산 시장은?
부동산 시장은 사실 예측이 어렵습니다.
금리를 인하하면 집값이 일반적으로 오르지 않나요?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현재 대출 금리는 기준금리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앞서 글을 쓴 것 처럼 예금자 보호 금액 상승으로 인해 대출 금리가 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금자 보호 1억으로 상향된다!
오늘은 예금자 보호가 1억으로 상향된다는 뉴스 기사를 보고 그것에 대한 부가적인 영향? 부작용?도 까지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52758i [속보] '예금자보호 1억
lazyimperfect.tistory.com
그렇다면 왜 금리를 내린 것일까?
금리를 내린 이유는 그만큼 우리 나라의 경제성장이 어렵다고 판단을 하기 때문입니다.
예상치 보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고, 내년도 1.9% 성장으로 매우 저성장이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우리 나라 기업들은 대부분 수출이 많기 때문에 환율이 오른다면 그만큼 영업이익이 커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가계 부채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금리를 내린 것 입니다.
나의 생각 한줄
너무 서두른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뉴노말의 달러당 1,400원 시대라 하더라도, 미국 금리 인하를 어느정도 기다렸다가 하는게 맞지 않나라는 생각 계속 든다.